[중1-1] 수의 대소 관계와 수직선
A라는 수가 B라는 수보다 크거나 같다를 기호로
표현할 수 있는가?
위와 같이 A와 B의 대소관계를
4가지로 ( 크다, 작다,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
분류하여 기호로 표현할 수 있는가?
수들의 대소관계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수들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아는가?
어떤 수가 원점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표현하는 법을 아는가?
아래로 쭈욱~~~~
A라는 수가 B라는 수보다 크거나 같다를 기호로
표현할 수 있는가?
A ≥ B
위와 같이 A와 B의 대소관계를
4가지로 ( 크다, 작다, 크거나 같다, 작거나 같다 )
분류하여 기호로 표현할 수 있는가?
A > B : A는 B보다 크다. A는 B초과이다.
A < B : A는 B보다 작다. A는 B미만이다.
A ≥ B : A는 B보다 크거나 같다. A는 B이상이다.
( A는 B보다 작지 않다.)
A ≥ B 는 A > B 또는 A = B 를 줄여쓴 것.
A ≤ B :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A는 B이하이다.
( A는 B보다 크지 않다.)
A ≤ B 는 A < B 또는 A = B 를 줄여쓴 것.
수들의 대소관계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쉽도록
수들의 위치를 표현하는 방법을 아는가?
수직선 : 수들을 그 값에 맞게 표현한 직선.
수직선 위에 수를 표현하는 순서
1. 직선을 그린다.
2. 원점(0에 대응하는 점)을 표시한다.
3. 일정한 간격으로 우측으로는 양의 정수(자연수)를,
좌측으로는 음의 정수를 표시한다.
4. 표시하고 싶은 수가 어떤 정수 사이에 있는지
파악하고, 대략적으로 등분하여 표시한다.
수직선에서 큰 수는 오른쪽, 작은 수는 왼쪽에 위치
예를 들어, 3.25를 수직선 위에 표시해보면

3과 4 사이에 존재하고 0.25는 4분의 1을 나타내므로
3과 4를 사등분하고 3에 가장 가까운 점에 표시한다.
음의 유리수를 표시해보면

어떤 수가 원점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를
표현하는 법을 아는가?
A라는 수가 수직선에서 원점으로 부터 떨어져있는
거리를 A의 절댓값이라 하고, | A | 라고 표시함.
- 5의 절댓값은 - 5가 0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말하는 것이므로 5.
이를 식으로 쓰면 | - 5 | = 5
A가 절댓값이 3인 수라고 할 때, A는?
A의 절댓값이 3이라는 말은 0으로부터 A까지의 거리가
3인 수 이므로, A는 3일 수도 있고, - 3일 수도 있음.
이를 식으로 쓰면 | A | = 3, A = - 3 or 3
진짜 수학을 만나다 : 네이버 블로그
원리와 개념에 맞게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학원 상담문의 : 010-4626-0179 위치 : 복대동 지웰 시티 흥복드림몰 605호
m.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