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1] 약수와 나머지
28개의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수로 나누어 줄 때,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그럼, 이번에는
28개의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나눠주고,
8개가 남았다고 하면,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그럼 이번에는
28개의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나눠주려고 하니,
빵이 2개 모자랐다고 하면,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아래로 쭉~~~
28개의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수로 나누어 줄 때,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를 A
빵을 나눠줄 사람의 수를 B라 하면
빵의 수 =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 x 사람의 수
28 = A x B
위의 식을 보면
빵을 나눠줄 사람 수 B는 28의 약수인 것을 알 수 있다.
28
= 1 x 28 ( 1명에게 28개를 모두 줌)
= 2 x 14 ( 2명에게 14개씩 줌)
= 4 x 7 ( 4명에게 7개씩 줌)
= 7 x 4 ( 7명에게 4개씩 줌)
= 14 x 2 (14명에게 2개씩 줌)
= 28 x 1 ( 28명에게 1개씩 줌)
물론 우리는 소인수분해를 통해서
약수를 구하는 법을 배웠으니
이렇게 하지 않지만,
각 경우를 설명해 주기 위해서 풀어쓴 것임.
[중1-1] 약수와 약수의 개수 구하기 ( by 소인수분해)
18의 약수를 모두 구할 수 있는가? 같은 방식으로 5040의 약수도 빠짐없이 구할 수 있는가? 아래로 쭉~~~ 우선 약수의 정의에 따르면 A로 B를 나누었을 때 나누어 떨어지면 A를 B의 약수라고 함.
naturalmath.tistory.com
이렇듯
A = a x b
와 같이 곱셈식으로 표현이 되면
a나 b가 A의 약수인 것을 알 수 있어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럼, 이번에는
28개의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나눠주고,
8개가 남았다고 하면,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를 A
빵을 나눠줄 사람의 수를 B라 하면
나눠준 빵의 수 =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 x 사람의 수
빵이 28개 있었는데, 8개가 남았으므로
나눠준 빵의 수는 28 - 8 = 20개!
식으로 써보면
28 - 8 = A x B
위의 식을 보면
빵을 나눠줄 사람 수 B는 20의 약수인 것을 알 수 있다.
20의 약수는 모두 구할 수 있으니 생략!
그럼 나눠줄 사람의 수는
1, 2, 4, 5, 10, 20이 모두 가능한가?
No~No~
숫자만 보지 말고 의미를 반드시 생각해야!
28개의 빵을 1명의 사람에게 나눠주는데
빵이 8개가 남을 수 있나? 그냥 다 주면 되는데
마찬가지로 2명, 4명, 5명에게 나눠준다고 할 때,
나눠주고 남은 빵이 8개일 수 없음.
따라서
나눠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10명과 20명뿐!
그럼 이번에는
28개 빵을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나눠주려고 하니,
빵이 4개 모자랐다고 하면,
나눠 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를 A
빵을 나눠줄 사람의 수를 B라 하면
나눠줄 빵의 수 = 한 사람당 나눠줄 빵의 수 x 사람의 수
빵이 28개 있었는데, 4개가 모자라므로
나눠줄 빵의 수는 28 + 4 = 32개!
식으로 써보면
28 + 4 = A x B
위의 식을 보면
빵을 나눠줄 사람 수 B는 32의 약수인 것을 알 수 있다.
32의 약수는 모두 구할 수 있으니 생략!
그럼 나눠줄 사람의 수는
1, 2, 4, 8, 16, 32가 모두 가능한가?
No~No~
역시 숫자만 보지 말고 의미를 반드시 생각해야!
28개의 빵을 1명의 사람에게 나눠주는데
빵이 4개가 모자랄 수 있나? 그냥 다 주면 되는데
마찬가지로 2명, 4명에게 나눠준다고 할 때,
모자란 빵의 수가 4개일 수 없음.
따라서
나눠줄 수 있는 사람의 수는 8명, 16명, 32명!
위에 본 것과 같이
무언가를 나눠 줄 때, 처음 가지고 있었던 것의 수는
의미가 없고, 실제로 나눠주는 것의 수가 중요함.
그래서 남거나 모자란 것을 감안해서
실제로 나눠준 것의 수로 식을 세워야 해석이 가능!
한 가지 더 생각해 볼 만한 것!
빵이 13개가 있는데
5명에게 나눠주면
1인당 2개씩 받고 3개가 남는다.
이를 식으로 쓰면
13 = 5 x 2 + 3
그런데 이 상황을 다르게 표현할 수도 있음.
빵 13개를 5명에게 나눠주려고 하는데
1인당 3개씩 주려면 2개가 모자란다.
이를 식으로 쓰면
13 = 5 x 3 - 2
이와 같이 같은 상황이더라도
남는 것으로 혹은 부족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
필요에 따라서 남는 것과 부족한 것을
바꿔가며 해석할 수도 있어야 함!
진짜 수학을 만나다 : 네이버 블로그
원리와 개념에 맞게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수학학원 상담문의 : 010-4626-0179 위치 : 복대동 지웰 시티 흥복드림몰 605호
m.blog.naver.com